dev/msSql2 hashtag DB 설계 가장 기본 개념.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24799753/database-design-for-apps-using-hashtags 카테고리를 해시태그로 하면 어떨까 해서.. 알아보고 있슴. 2017. 7. 15. 네이트 해킹으로 본 DB 암호화의 허점 - 암호화되어 있다고 안심하지 말자. 네이트 해킹 사건이 오늘에 가장 관심 있는 사건으로 떠올랐습니다. ( 물론 제 개인적으로... ) 네이트 서버가 해킹을 당해 약 3,500 만건의 데이터가 유출되었다고 합니다. 이때 주민등록번호와 비밀번호는 암호화 되어 있어 안전하나 타 사이트의 비밀번호는 변경해야 한다고 합니다. 암호화 되어 있으면 안전하지 않느냐? 그렇지 않습니다. 개인이 어떻게 비밀번호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집니다. 보통 저희의 경우는 암호화는 MD5 암호화를 주로 사용합니다. 이 암호화는 단반향 암호화로서 복호화 할수 없는 암호화 방식입니다. 입력하는 문자의 조합에 대해 1:1 로 매칭되는 암호구문만이 존재합니다. 이 부분에서 허점이 발생합니다. 1:1 로 매칭되는 모든 내용을 DB 화 해놓는다면? 이러면 유추하기 쉬운 .. 2011. 7. 29. 이전 1 다음